c (2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C] 증감연산자 (선처리 후연산, 후처리 선연산) 증감연사자 정리 선증가 후연산이란? ++a; //연산자인 ++가 변수의 앞에 있는 경우 a의 값을 1 더한 후 출력 선감소 후연산이란? --a; //연산자인 --가 변수의 앞에 있는 경우 a의 값을 1 감소 후 출력 후증가 선연산이란? a++; //연산자인 ++가 변수의 뒤에 있는 경우 a의 값을 출력 후 1을 더함 후감소 선연산이란? a--; //연산자인 --가 변수의 뒤에 있는 경우 a의 값을 출력 후 1을 감소 일반 증감연산 소스 #include int main(){ int a=3; a++; printf("a의 값: %d",a); //a의 값: 4 a--; printf("a의 값: %d",a); //a의 값: 3 ++a; printf("a의 값: %d",a); //a의 값: 4 --a; p.. [C] 포인터 변수(&변수 ) 포인터변수를 사용한 예시 #include int main(void) { int num=0; int *ptr1 = num; //ptr1의 공간 안에 num의 값을 넣음 int *ptr2 = # //ptr2의 공간 안에 num의 주소값을 넣음 printf("*ptr = num의 값: %d \n",ptr1); printf("*ptr = &num의 값: %d \n",ptr2); } 결과: *ptr = num의 값: 0 *ptr = &num의 값: 0 이해해야할 부분은 아래 주석 int *ptr1 = num; //ptr1의 공간 안에 num의 값을 넣음 int *ptr2 = # //ptr2의 공간 안에 num의 주소값을 넣음 [C] 진수 변환 20을 2진수로: 10100(2) 20을 4진수로: 10100(2)을 두 자리씩 끊어서 (1/01/00) 각각 10진수로 환산 1/1/0 → 110(4) 20을 8진수로: 10100(2)을 세 자리씩 끊어서 (10/100) 각각 10진수로 환산 2/4 → 24(8) 20을 16진수로: 10100(2)을 네 자리씩 끊어서 (1/0100) 각각 10진수로 환산 1/4 → 14(16) [C] if문, else if문, else문 개념 if문, else if문, else문에 관한 개념과 예제입니다. if문과 else문 #include int main(){ int a=0; if(a==1){ //조건을 검사 후 충족하면 1번이 출력됨 printf("1번"); } else{ //if문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else로 이동하여 else문 내부에 있는 기능을 실행 2번이 출력 printf("2번"); } } 결과: 2번 단순히 if의 조건이 아니면 else의 기능을 실행 다중 if문 #include int main(){ int a=0; if(a==0){ //조건을 검사 후 충족하면 1번이 출력 printf("1번"); } if(a==0){ //조건을 검사 후 충족하면 2번이 출력 printf("2번"); }else{ //if문의 조건이 .. [C] %d와 %f의 정의 %d는 양의 정수형으로 10진수를 의미하고 이것을 출력하기 위한 표현이 %d %f는 실수를 의미 %f로 사용할 경우 소수점 6번째 자리까지 표시 이 표시되는 소수점의 수를 지정하고 싶다면 %.원하는숫자f 와 같이 사용 예: %.3f :소수점 3번째자리까지 표시, 4번째에서 소수점 반올림 0.114654 -> 0.115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. %d는 10진수 표현 %f는 실수 표현(기본값: 소수점 6번째자리까지 표시) [C] for(;;) 구문 의미 for문의 구문은 for(초기값; 조건식; 증감식) 이와같이 사용하지만, 식이나 값 없이 세미콜론(;)만 입력 할 경우 무한루프 while(1)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. / / while(1) 도 무한루프를 수행 #include void main(){ for(;;){ printf("1"); } } for문에서 비어있는 값은 무조건 참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반복문인 for문의 경우 무한으로 반복되어 수행됩니다. [C] If문과 리턴값에서 사용되는 참과 거짓 (0, 1값 의미) IF문 if문에서 사용되는 참과 거짓은 프로그램 상으로 0과 1로 구분되어 인식된다. 0은 거짓, 1은 참 int a = 0 if(a == 0) // if문에서 a의 값이 0인지 물어봤고 a가 0이므로 시스템에서는 참의 값인 1을 인식 printf("참"); else printf("거짓 "); 결과: 참 int a = 0 if(a == 1) // a가 0이 아니므로 시스템에서는 거짓의 값인 0을 인식 printf("참"); else printf("거짓 "); 결과: 거짓 위처럼 변수값이 0,1일 경우 혼동되기 쉽다. 여기서 보아야 할 부분은 if문 안에있는 값이 아니라 시스템에서 받아들이는 값을 보아야 한다.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예문 ↓ int a = 3 if(a == 3) // if문에서 a의 값.. [C] 별찍기 코딩 / *프로그램 For문을 이용한 C언어 별찍기 int i,j; for(i=0; i 이전 1 2 3 다음